절차탁마 뜻 절차탁마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절차탁마'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 의미 절차탁마 (切磋琢磨) ㆍ 切 : 끊을 절 ㆍ 磋 : 갈 차 ㆍ 琢 : 쪼을 탁 ㆍ 磨 : 갈 마 절차탁마 뜻 절차탁마 (切磋琢磨)는 칼로 다듬고 줄로 쓸며 망치로 쪼고 숫돌로 간다는 뜻으로, 학문을 닦고 덕행을 수양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절차탁마 유래 《시경(詩經)》 기욱편(淇澳篇)의 다음 시구에서 유래하는 말이다. 저 치수이 강[淇水, 기수] 모퉁이를 보니, 푸른 대나무가 무성하도다![瞻彼淇澳, 菉竹猗猗.] 아름다운 광채 나는 군자여!..
우공이산 뜻 우공이산 유래 우공이산 뜻 우공이산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우공이산'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 의미 우공이산 (愚公移山) ㆍ 愚 : 어리석을 우 ㆍ 公 : 공평할 공 ㆍ 移 : 옮길 이 ㆍ 山 : 뫼 산 우공이산 뜻 우공이산 (愚公移山)은 쉬지 않고 꾸준하게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우공이산 유래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열자(列子)》 에 나오는 이야기다. 어리석어 보이는 일이라도 한가지일에 매진하여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
과유불급 뜻 과유불급 유래 과유불급 뜻 과유불급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과유불급'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 의미 과유불급 (過猶不及) ㆍ 過 : 지나칠 과 ㆍ 猶 : 오히려 유 ㆍ 不 : 아닐 불 ㆍ 及 : 미칠 급 과유불급 뜻 과유불급 (過猶不及)은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입니다. 과유불급 유래 《논어》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로,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사(師:子張의 이름)와 상(商:子夏의 이름)은 어느 쪽이 어집니까?" 하고 묻자, 공자는 "사는 지나치고 상은 미치지 못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럼 사가 낫단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