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인성호의 뜻 삼인성호 유래 삼인성호의 뜻 삼인성호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삼인성호'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 의미 삼인성호 (三人成虎) ㆍ 三 : 석 삼 ㆍ 人 : 사람 인 ㆍ 成 : 이룰 성 ㆍ 虎 : 범 호 삼인성호 뜻 삼인성호 (三人成虎)는 세 명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곧이 믿게 된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똑같이 하면 믿게 된다는 말입니다. 삼인성호 유래 《한비자(韓非子)》의 〈내저설(內儲說)〉과 《전국책(戰國策)》의 〈위책 혜왕(魏策 惠王)〉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전국시대 위(魏)나라 혜왕 때 일어난 일이다..
부화뇌동 뜻 부화뇌동 유래 부화뇌동 뜻 부화뇌동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부화뇌동'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 의미 부화뇌동 (附和雷同) ㆍ 附 : 붙을 부 ㆍ 和 : 응할 화 ㆍ 雷 : 우레 뢰 ㆍ 同 : 같이할 동 부화뇌동 뜻 부화뇌동 (附和雷同)은 우레 소리에 맞추어 천지 만물이 함께 울린다는 뜻으로,자기 생각이나 주장 없이 남의 의견에 동조한다는 말입니다. 부화뇌동 유래 《예기(禮記)》의 〈곡례편(曲禮篇)〉상(上)에 나오는 말이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자신의 의견인 것처럼 생각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지 말라. 옛 성현들의..
결자해지의 뜻 결자해지 유래 결자해지 뜻 한자성어는 비유적인 내용을 담은 함축된 글자로 상황, 감정, 사람의 심리 등을 묘사한 말로 일상생활이나 글에 많이 사용됩니다. 한문성어라고도 합니다. 오늘은 한자성어 '결자해지'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 의미 결자해지 (結者解之) ㆍ 結 : 맺을 결 ㆍ 者 : 놈 자 ㆍ 解 : 풀 해 ㆍ 之 : 어조사 지 결자해지 뜻 결자해지 (結者解之)는 매듭을 묶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을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결자해지 유래 누구나 자신이 저지른 일은 무슨 일이 있어도 끝까지 책임지고 풀어야 한다는 말이다. 자신이 일을 해놓고 일이 힘들거나 일을 끝마치더라도 자신에게 유리하지 않을 것을 예상하고 그만두거나,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책임감 없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