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산지석 뜻 타산지석 유래 타산지석 뜻 타산지석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타산지석'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산지석 한자 타산지석 (他山之石) ㆍ 他 : 다를 타 ㆍ 山 : 뫼 산 ㆍ 之 : 어조사 지 ㆍ 石 : 돌 석 타산지석 뜻 다른 산에서 나는 보잘것없는 돌이라도 자기의 옥(玉)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입니다. 타산지석 유래 "다른 산의 못생긴 돌멩이라도 자기 옥을 가는 숫돌로 사용할 수 있다[他山之石, 可以攻玉]"는 구절에서 유래하는 말로, 쓸모없어 보이는 것도 쓰기에 따라 얼마든지 유용하게 쓸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도 ..
언감생심 뜻 언감생심 유래 언감생심 뜻 언감생심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언감생심'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감생심 한자 언감생심 (焉敢生心) ㆍ 焉 : 어찌 언 ㆍ 敢 : 감히 감 ㆍ 生 : 날 생 ㆍ 心 : 마음 심 언감생심 뜻 어찌 감히 마음이 생긴단 말인가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해 볼 엄두도 못내는 경우에 쓰이는 표현입니다. 언감생심 유래 언감(焉敢)은 ‘어찌 감히’ 라는 뜻의 어조사이다. ‘어떻게 그럴 수 있단 말인가’와 같은 감탄의 의미, 또는 ‘감히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할 수 없다’는 뜻의 부사어로 문장 앞에 붙여 쓰인다. 생..
횡설수설의 유래 횡설수설 뜻 횡설수설의 유래 횡설수설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횡설수설'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횡설수설 한자 횡설수설 (橫說竪說) ㆍ 橫 : 가로 횡 ㆍ 說 : 말씀 설 ㆍ 竪 : 세로 수 ㆍ 說 : 말씀 설 횡설수설 뜻 가로로 말하다가 세로로 말한다는 뜻으로, 내용을 알 수 없게 정신없이 떠드는 말이나 행동을 가리키는 것을 말합니다. 횡설수설 유래 횡설수설이 오늘날 쓰이는 의미는 본래의 뜻과 다르다. 불교 경전인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홍주황벽희운선사(洪州黃檗希運禪師)〉편에는 중국 당나라 시대 대승불교 고승 황벽 희운 선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