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필귀정(事必歸正) 뜻 사필귀정(事必歸正)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사필귀정'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 의미 사필귀정 (事必歸正) ㆍ 事 : 일 사 ㆍ 必 : 반드시 필 ㆍ 歸 : 돌아갈 귀 ㆍ 正 : 바를 정 사필귀정 뜻 사필귀정 (事必歸正)은 무슨 일이든 결국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는 뜻의 고사성어입니다. 사필귀정 유래 올바르지 못한 것이 임시로 기승을 부리는 것 같지만 결국 오래가지 못하고, 마침내 올바른 것이 이기게 되어 있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사(事)"는 "이 세상의 모든 일"을 뜻하고, "정(正)"은 "이 세상의 올바른 법칙"..
사자성어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라는 속담과 동일하게 쓰이는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거자일소 (去者日疎) ㆍ 去 : 갈 거 ㆍ 者 : 놈 자 ㆍ 日 : 날 일 ㆍ 疎 : 멀 소 가는 자는 날로 멀어진다는 말로, 죽은 사람이나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은 날이 갈수록 멀어진다는 뜻을 가지는 사자성어입니다. 거자일이소 (去者日以疎)에서 이(以)자를 생략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중국 육조(六朝)시대 양(梁)나라의 소명태자(昭明太子)가 편찬한 《문선(文選)》 〈잡시(雜詩)〉에 수록된 지은이 불명의 고시(古詩) 19수(首)는 감성(感性) 표출의 아름다움에 있어 비견할 수 없는 시들이 모아져 있는데, 많은 고시 중에서도 가장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제14수의..
사자성어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이 가져간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이 가져간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이 가져간다.' 라는 속담과 동일하게 쓰이는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좌향기성 (坐享其成) ㆍ 坐 : 앉을 좌 ㆍ 享 : 누릴 향 ㆍ 其 : 그 기 ㆍ 成 : 이룰 성 '가만히 앉아서 남이 고생 끝에 얻은 성과를 누린다'는 사자성어입니다. 가만히 앉은 채 남이 애써 이룩해 놓은 일을 가로채 누린다는 뜻으로,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이 먹는다.'는 우리말 속담과 같은 말입니다. 정작 수고한 사람은 따로 있는데, 엉뚱한 사람이 가로채 이익을 챙기는 격으로 맹자(孟子)의 이루하(離婁下) "소오어지자장(所惡於智者章)"에 나오는 말입니다. "맹자가 말하였다. 천하에서 인간의 본성에 대해 말하는 것은 이미 이루어진 일을 가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