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전절후 뜻 공전절후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공전절후'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전절후 한자 공전절후 (空前絶後) ㆍ 空 : 빌 공 ㆍ 前 : 앞 전 ㆍ 絶 : 끊을 절 ㆍ 後 : 뒤 후 공전절후 뜻 전에도 없었고 후에도 없을 것이라는 뜻으로, 평범하지 않은 뛰어난 경지 또는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귀한 존재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공전절후 유래 중국 송(宋)나라 주상현(朱象賢)의 《문견우록(聞見偶錄)》 장의 다음 이야기에서 유래하는 말이다. "옛날에 목란이란 이름의 여자가 남자 행세를 하고 아버지 대신 종군을 갔다. 12년을 있다 돌..
조강지처 뜻 조강지처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조강지처'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강지처 한자 조강지처 (糟糠之妻) ㆍ 糟 : 지게미 조 ㆍ 糠 : 겨 강 ㆍ 之 : 갈 지 ㆍ 妻 : 아내 처 조강지처 뜻 보잘것없는 음식을 먹으면서 함께 고생한 아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조강지처 유래 줄여서 조강(糟糠)이라고도 한다. 조(糟)는 술을 만들고 남은 쌀 찌꺼기, 강(糠)은 쌀겨로, 조강(糟糠)은 가난한 처지에 먹는 보잘것없는 음식을 가리킨다. 오랜 세월 산전수전 겪으며 함께 살아온 아내를 흔히 조강지처라고 한다. 《후한서(後漢書)》 〈송..
죽마고우 뜻 죽마고우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죽마고우'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죽마고우 한자 죽마고우 (竹馬故友) ㆍ 竹 : 대나무 죽 ㆍ 馬 : 말 마 ㆍ 故 : 옛 고 ㆍ 友 : 벗 우 죽마고우 뜻 앞뒤의 차례가 서로 뒤바뀐 경우를 이르는 말입니다. 죽마고우 유래 《세설신어(世說新語)》〈품조편(品藻篇)〉과 《진서(晉書)》〈은호전(殷浩傳)〉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진(晉)나라의 은호는 성품이 온후(溫厚)하였으며, 학문 또한 박학(博學)하였다. 젊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을 즐겨 읽었으며, 벼슬이 싫어 조상의 무덤을 십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