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동풍 뜻 마이동풍 뜻 유래 마이동풍 뜻 마이동풍 뜻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마이동풍'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이동풍 한자 마이동풍 (馬耳東風) ㆍ 馬 : 말 마 ㆍ 耳 : 귀 이 ㆍ 東 : 동녘 동 ㆍ 風 : 바람 풍 마이동풍 뜻 말 귀에 봄바람이 스쳐간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흘려버림 또는 전혀 관심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마이동풍 유래 당나라 때의 시인 이백(李白)의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라는 시에 나오는 말이다. 왕십이(王十二)가 이백에게 보낸 〈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 : 추운 밤에 홀로 술잔을..
우이독경 뜻 우이독경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우이독경'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이독경 한자 우이독경 (牛耳讀經) ㆍ 牛 : 소 우 ㆍ 耳 : 귀 이 ㆍ 讀 : 읽을 독 ㆍ 經 : 경서 경 우이독경 뜻 소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애써 일러주어도 이해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상대나 공을 들여도 보람이 없는 부질없는 일을 말합니다. 우이독경 유래 ‘소귀에 경 읽기’라는 속담의 한역이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속담집, 잡서인 《순오지》, 《이담속찬》, 《동언해(東言解)》 등에 ‘우이송경(牛耳誦經)’이라는 말로 전한다. 소의 귀에 대고 아무리..
막상막하 비슷한 말 막상막하 뜻 막상막하 비슷한 말 막상막하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막상막하'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막상막하 한자 막상막하 (莫上莫下) ㆍ 莫 : 없을 막 ㆍ 上 : 윗 상 ㆍ 莫 : 없을 막 ㆍ 下 : 아래 하 막상막하 뜻 위도 없고 아래도 없다는 뜻으로 수준이나 실력이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상황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막상막하 유래 누가 위이고 누가 아래인지 분간하기 힘든 경우, 차이가 없어 우열을 가리지 못하고 접전이 이어지는 상황을 이르는 말이다. 난형난제(難兄難弟), 우열난분(優劣難分)도 같은 뜻이다. 이외에도 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