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객전도 뜻 주객전도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주객전도'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객전도 한자 주객전도 (主客顚倒) ㆍ 主 : 주인 주 ㆍ 客 : 손 객 ㆍ 顚 : 넘어질 전 ㆍ 倒 : 거꾸로 도 주객전도 뜻 앞뒤의 차례가 서로 뒤바뀐 경우를 이르는 말입니다. 주객전도 유래 주인과 손님이 뒤바뀌었다는 뜻으로, 중요도에 따라 주(主)가 되는 것과 부수적(附隨的)인 것의 순서나 앞뒤의 차례가 바뀐 경우를 말한다. 사물(事物)의 중요성과 중요하지 않은 것, 급한 일과 급하지 않은 것, 선후(先後) 따위의 순서가 뒤바뀌었다는 말이다. 주인은..
중구난방 뜻 중구난방 어원 중구난방 뜻 중구난방 어원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중구난방'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구난방 한자 중구난방 (衆口難防) ㆍ 衆 : 무리 중 ㆍ 口 : 입 구 ㆍ 難 : 어려울 난 ㆍ 防 : 막을 방 중구난방 뜻 여러 사람의 입을 막기 어렵다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이 각각 자신의 의견을 내어서 중론이 모아지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중구난방 유래 《십팔사략(十八史略)》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소공(召公)이 주여왕(周勵王)의 탄압 정책에 반대하며 이렇게 충언(衷言)하였다. “백성의 입을 막는 것은 개천을 막는 것보다 어렵습니다[防民之..
천고마비 뜻 천고마비 유래 천고마비 뜻 천고마비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천고마비'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고마비 한자 천고마비 (天高馬肥) ㆍ 天 : 하늘 천 ㆍ 高 : 높을 고 ㆍ 馬 : 말 마 ㆍ 肥 : 살찔 비 천고마비 뜻 가을 하늘이 높으니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은 날씨가 매우 좋은 계절임을 형용하여 이르거나 활동하기 좋은 계절을 이르는 말입니다. 천고마비 유래 이 말의 원말은 '추고새마비(秋高塞馬肥)'로, 당나라 초기의 시인 두심언(杜審言)의 시에서 나왔다. 두심언은 진(晉)나라의 명장이고 학자였던 두예(杜預)의 자손이며, 성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