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참마속 뜻 읍참마속 유래 읍참마속 뜻 읍참마속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읍참마속'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읍참마속 한자 읍참마속 (泣斬馬謖) ㆍ 泣 : 소리없이 울 읍 ㆍ 斬 : 벨 참 ㆍ 馬 : 말 마 ㆍ 謖 : 일어날 속 읍참마속 뜻 읍참마속 (泣斬馬謖)은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엄정히 법을 지켜 기강을 바로 세우는 일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읍참마속 유래 '울며 마속(馬謖)의 목을 베다'라는 뜻으로 《삼국지(三國志)》의 〈촉지(蜀志)·마속전(馬謖傳)〉에서 유래된 말이다. 촉(蜀)나라의 제갈 량(諸葛亮)은 마속의 재능을 아껴 유비(劉備)의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