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심초사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노심초사'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심초사

     

    노심초사 한자

    노심초사 (勞心焦思)

    ㆍ 勞 : 힘쓸 로

    ㆍ 心 : 마음 심

    ㆍ 焦 : 그을릴 초

    ㆍ 思 : 생각 사

     
     

    노심초사

     

    노심초사 뜻

    노심초사 (勞心焦思)는 마음속으로 애를 쓰고 생각이 많아 속이 탄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한 걱정과 우려로 몹시 불안한 상태를 이르는 말입니다.

     
     

    노심초사 유래

    중국 한(漢)나라 때 사마천(司馬遷)이 고대 황제부터 당시의 왕인 한무제(漢武帝)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별로 패권을 장악했던 제왕들의 사적을 기록한 역사서 《사기(史記)》에서 유래하는 말이다. 그중 〈하본기(夏本紀)〉에서 하(夏)나라 우(禹)임금에 대한 대목에 이런 내용이 있다.

     
     

    "우는 선친 곤이 공을 이루지 못하고 죽임을 당한 것이 마음 아파 노심초사하면서 13년을 밖에서 지냈는데 집 대문 앞을 지나면서도 감히 들어가지 못했다.[禹傷先人父鯀功之不成受誅, 乃勞心焦思, 居外十三年, 過家門不敢入.]"

     
     

    우는 요(堯)·순(舜)에 이어 성인으로 칭송 받는 전설상의 군주 중 한 사람으로 치수(治水), 즉 홍수나 관개에 관한 일을 잘 처리했다고 한다. 앞서 우의 아버지인 곤은 숭(崇)땅의 수령이었는데 황하(黃河) 유역의 잦은 홍수로 백성들이 피해를 입자 순임금의 명에 따라 치수 사업을 맡게 된다. 그러나 9년이 넘도록 수해를 극복하지 못했고, 이에 순임금은 그 책임을 물어 곤을 죽이고 그 아들인 우에게 치수의 임무를 맡겼다. 우는 아버지의 죽음을 마음속에 되새기며 13년 동안 3번이나 집 앞을 지나면서도 한 번도 들어가지 않을 만큼 오로지 일에만 몰두하여 결국엔 치수에 성공하였다. 이후 민생 안정을 위해 목숨을 바쳐 갖은 업적을 쌓았고 그 공을 인정받아 순임금의 후계자가 된다.

     
     

    여기서 전하여 노심초사는 한 가지 일에 골몰하거나 급작스러운 상황에 화가 일어날까 우려하여 속이 타들어갈 만큼 심하게 마음 쓰는 것을 의미한다. 마음에 걱정이 가득해 잠을 이루지 못하는 모양을 뜻하는 경경고침(耿耿孤枕), 경경불매(耿耿不寐), 전전반측(輾轉反側), 전전불매(輾轉不寐) 등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노심초사

     

    이상으로 '노심초사 (勞心焦思)'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출처: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