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설지공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형설지공'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형설지공

     

    한자 의미

    형설지공 (螢雪之功)

    ㆍ 螢 : 반딧불이 형

    ㆍ 雪 : 눈 설

    ㆍ 之 : 갈 지

    ㆍ 功 : 공 공

     
     

    형설지공

     

    형설지공 뜻

    형설지공 (螢雪之功)은 가난한 사람이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함을 일컫는 말입니다.

     
     

    형설지공 유래

    후진(後晉)의 이한(李瀚)이 지은 《몽구(蒙求)》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손강(孫康)은 집이 가난하여 기름을 살 돈이 없었다. 그래서 그는 늘 눈빛에 책을 비추어 글을 읽었다. 나중에 그는 어사대부(御史大夫)에까지 벼슬이 올랐다.

     
     

    또 진(晉)나라의 차윤(車胤)이란 사람은 기름을 구할 수가 없어 여름이면 수십 마리의 반딧불을 주머니에 담아 그 빛으로 밤을 새우며 책을 읽어 마침내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되었다고 한다. 이 고사에서 비롯되어 어려운 처지에서 공부하는 것을 '형설지공' 또는 단순히 '형설'이라고 한다. 또 공부하는 서재를 형창설안(螢窓雪案)이라고도 한다.

     
     

    형설지공

     

    이상으로 '형설지공' (螢雪之功)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출처: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