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응보 뜻 인과응보 유래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인과응보'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자 의미
인과응보 (因果應報)
ㆍ 因 : 인할 인
ㆍ 果 : 열매 과
ㆍ 應 : 응할 응
ㆍ 報 : 갚을 보
인과응보 뜻
인과응보 (因果應報)는 원인과 결과는 상응하여 갚는다는 뜻으로, 행한 대로 결실을 얻는다는 뜻의 고사성어입니다.
인과응보 유래
줄여서 응보(應報), 과보(果報)라고도 한다. 본래는 불교용어로 원인과 결과는 서로 맞물려 이어져 있다는 말이다.
중국 당나라의 율종승(律宗僧) 도세(道世)가 불교의 세계관에 대하여 백과사전처럼 엮은 책인 《법원주림(法苑珠林)》의 〈유무삼매경(惟無三昧經)〉편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선을 생각하는 자는 선한 과보를 얻고 악을 생각하는 자는 악한 과보를 얻는다(一善念者, 亦得善果報, 一惡念者, 亦得惡果報.).”
불교에서는 생사가 윤회하는 현상 이면에 인과 관계가 있다고 본다. 현재에 경험하는 일상의 모든 것은 과거의 행위의 결과이며, 지금에 행하는 모든 것은 다가올 미래에 그 결과로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원인과 결과가 과거·현재·미래 삼세(三世)에 호응하여 나타나므로, 과거에 선한 일을 했으면 현재에 좋은 보답을 받게 되고 현재에 나쁜 짓을 하면 미래에 그 죄에 대한 대가를 받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전하여 인과응보는 이미 저지른 잘못에 대해 합당한 처벌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거나, 현재에 일어난 어떤 일은 근본적인 이유를 따져보면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므로 반성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많이 쓰인다.
비슷한 성어로 종두득두(種豆得豆), 자업자득(自業自得), 양호유환(養虎遺患), 자업자박(自業自縛), 자작지얼(自作之孼), 자작자수(自作自受), 출이반이(出爾反爾) 등이 있다.
이상으로 '인과응보' (因果應報)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출처: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