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만성 뜻 대기만성 뜻 고사성어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관용어를 말합니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오늘은 고사성어 '대기만성'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기만성 한자 대기만성 (大器晩成) ㆍ 大 : 큰 대 ㆍ 器 : 그릇 기 ㆍ 晩 : 늦을 만 ㆍ 成 : 이룰 성 대기만성 뜻 대기만성 (大器晩成)은 큰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대기만성 유래 《노자(老子)》 41장에서 나온 말이다. 노자는 이 장에서 옛글을 인용하여 도(道)를 설명하였는데 "매우 밝은 도는 어둡게 보이고, 앞으로 빠르게 나아가는 도는 뒤로 물러나는 것 같다. 가장 평탄한 도는 굽은 것 같고, 가..